영역 | 일반직무교육(기본 과정) | 일반직무교육(심화 과정)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교과목 | 시간 | 교과목 | 시간 | ||
인성·소양 (8시간) |
보육교사와 인권
|
3 |
보육교사의 인문적 소양
|
3 | |
보육교사의 직무역량 강화
|
3 |
보육교사의 직무역량 강화
|
3 | ||
보육교사의 건강관리
|
2 |
보육교사의 건강관리
|
2 | ||
건강·안전 (9시간) |
안전사고 예방교육
|
3 |
안전사고 예방교육
|
3 | |
보건위생관리
|
3 |
보건위생관리
|
3 | ||
아동학대, 성폭력, 실종 예방 및 사후관리
|
3 |
아동학대, 성폭력, 실종 예방 및 사후관리
|
3 | ||
전문 지식 · 기술 (23시간) |
장애 및 다문화 실제 (4시간) |
다문화교육 이해와 실제
|
2 |
다문화교육 과정 심화
|
2 |
장애통합보육 운영 실제
|
2 |
장애통합보육 운영 실제
|
2 | ||
보육 활동 운영의 실제 (16시간) |
영유아 관찰 및 기록 실제
|
3 |
영유아 관찰 기록의 활용
|
3 | |
영유아 부적응 행동의 이해
|
2 |
영유아 행동 유형별 발달지원
|
2 | ||
보육정보 탐색의 적용과 사례
|
2 |
보육교사의 놀이참여 및 확장·연계
|
2 | ||
디지털시대의 교수매체 활용 및 적용
|
3 |
영유아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
|
2 | ||
영유아 인성교육의 실제
|
3 |
영유아 인성교육의 심화
|
2 | ||
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전략 (선택)
|
3 |
어린이집시설·설비관리(선택)
|
2 | ||
유아교사의 상호작용 전략 (선택)
|
3 |
동료 수업 멘토링(선택)
|
3 | ||
보수교육기관 자체개발 교과목(선택) |
3 |
보수교육기관 자체개발 교과목(선택) |
3 | ||
가족 및 지역 사회 협력 (3시간) |
부모-교사 의사 소통의 이해와 실제(선택)
|
3 |
열린 어린이집 계획 및 운영(선택)
|
3 | |
부모 개별 면담 기법(선택)
|
3 |
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사례 분석(선택)
|
3 | ||
계 | 15과목 | 40 | 16과목 | 40 |
영역 | 일반직무교육(기본 과정) | 일반직무교육(심화 과정)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교과목 | 시간 | 교과목 | 시간 | ||
인성·소양 (8시간) |
보육철학과 윤리
|
3 |
아동권리와 보육철학
|
3 | |
원장의 건강관리
|
3 |
원장의 건강관리
|
3 | ||
보육교직원의 인문적 소양
|
2 |
보육교직원의 문화적 소양
|
2 | ||
건강·안전 (9시간) |
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
|
3 |
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
|
3 | |
보건위생관리
|
3 |
보건위생관리
|
3 | ||
아동학대, 성폭력, 실종 예방 및 사후관리
|
3 |
아동학대, 성폭력, 실종 예방 및 사후관리
|
3 | ||
전문 지식 · 기술 (23시간) |
장애 및 다문화 실제 (4시간) |
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이해와 실제
|
2 |
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
|
2 |
장애통합보육 운영 실제
|
2 |
장애통합보육을 위한 운영 관리
|
2 | ||
기관 운영의 실제 (16시간) |
어린이집 내 영유아 관찰과 평가
|
3 |
아동발달진단도구의 이해와 활용
|
3 | |
보육계획과 보육일지 작성 관리
|
2 |
보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
|
2 | ||
영유아 생활지도를 위한 교사교육
|
2 |
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
|
2 | ||
교수매체 선정과 평가
|
3 |
보육과정 디지털활용능력 개발
|
2 | ||
원장의 대외협력 관리
|
2 |
원장의 리더십과 조직관리
|
2 | ||
영상정보처리기기(CCTV)의 관리 및 운영
|
2 |
개인정보보호와 디지털매체 윤리의 실제
|
2 | ||
우수 보육프로그램 사례(선택)
|
3 |
우수 보육프로그램 동향(선택)
|
3 | ||
보수교육기관 자체개발 교과목(선택) |
3 |
보수교육기관 자체개발 교과목(선택) |
3 | ||
가족 및 지역 사회 협력 (3시간) |
부모자원 활용 계획과 운영(선택)
|
3 |
부모 요구 조사 및 활용(선택)
|
3 | |
어린이집과 지역사회 자원 연계의 실제(선택)
|
3 |
어린이집과 지역사회 자원 연계 계발(선택)
|
3 | ||
계 | 16과목 | 40 | 16과목 | 40 |
영역 | 일반직무교육(기본 과정) | 일반직무교육(심화 과정) | ||
---|---|---|---|---|
교과목 | 시간 | 교과목 | 시간 | |
인성·소양 (8시간) |
아동권리와 인권
|
4 |
보육교사의 역할과 윤리
|
4 |
원장직무의 이해 및 윤리
|
4 |
아동복지와 인권
|
4 | |
건강·안전 (4시간) |
영유아 건강·안전
|
4 |
영유아 건강·안전
|
4 |
전문 지식 · 기술 (23시간) |
보육정책의 최신 동향
|
4 |
영유아 관찰 및 평가
|
4 |
보육관련 법규의 이해
|
4 |
영유아 행동지도
|
4 | |
어린이집 인사관리
|
4 |
영유아 긍정적 상호작용
|
4 | |
재무회계 관리
|
4 |
영유아 행동의 발달적 이해
|
4 | |
조직관리와 리더십
|
4 |
보육계획 수립
|
4 | |
어린이집 개인정보보호 관리 및 보육통합 정보시스템 이해
|
4 |
보육일지 작성의 실제
|
4 | |
보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
|
4 |
표준보육과정
|
4 | |
계 | 10과목 | 40 | 10과목 | 40 |